전체 글7 창덕궁의 역사와 소개 서울 종로구 율곡로에 위치한 창덕궁(昌德宮)은 1405년(태종 5) 경복궁의 이궁(離宮)으로 조성되었다. 조선의 법궁인 경복궁과 달리 창덕궁은 인위적인 구조를 따르지 않고 주변의 지형과 조화를 이루며 건축되었다. 가장 한국적인 궁궐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199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역사창덕궁은 1405년(태종 5) 경복궁에 이어 두 번째로 건립된 조선의 궁궐이다. 이미 1394년(태조 3)에 창건한 경복궁이 있었지만, 왕자의 난을 겪고 옹립된 정종(定宗, 1357~1419)은 옛 고려의 수도인 개경으로 천도했다. 정종의 뒤를 이어 즉위한 태종은 경복궁의 동쪽 향고동에 이궁(移宮)인 창덕궁을 짓고 한양으로 재천도했다. 그리고 개경을 떠나 한양에 도착했을 때 정궁인 경복궁이 아닌 창덕궁으로 이어.. 2025. 5. 22. 경복궁의 역사와 광화문 및 주요 전각 소개 경복궁(景福宮)은 서울 종로구 사직로에 위치한 조선 왕조의 법궁(法宮)으로 사적 117호로 지정되었다. 1395년(태조 4)에 창건되어 정궁(正宮)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1952년 임진왜란 때 전소되어 오랫동안 폐허로 남아 있다가 조선 말기 고종 때 중건되었다. 경복궁의 역사1392년 조선을 건국한 태조는 1394년에 도읍을 한양으로 옮기고 신도궁궐조성도감(新都宮闕造成都監)을 설치했다. 『주례(周禮)』의 정치적 이상을 구현하기 위해 '좌묘우사(左廟右社)'의 예법에 따라 경복궁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종묘를 오른쪽에는 사직단을 지었다. '경복(景福)'은 『시경(詩經)』에 나오는 말로 '새 왕조가 큰 복을 누려 번영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정도전이 지은 것이다. 조선의 개국공신인 정도전은 이외에도 강녕전.. 2025. 5. 20. <인왕제색도>의 해석과 가치_진경산수화 는 2021년 4월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된 이건희 컬렉션 가운데 하나로, 많은 사람들이 직접 보기 위해 문전성시를 이룰 만큼 오늘날에도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다. 겸재 정선(鄭敾, 1676~1759)이 노년에 완성한 대표작으로 비가 내리고 갠 인왕산의 풍경을 화폭에 담았다.인왕제색도의 의미와 해석는 세로 79.2cm, 가로 138.0cm로 조선시대 회화 가운데 비교적 크기가 큰 편이다. 오른쪽 첫 번째 줄에는 “인왕제색(仁王霽色)”이라는 글귀가 있는데, 이는 “인왕산의 비가 개다”라는 뜻이다. 다음 줄의 “겸재(謙齋)”는 정선의 호이고, 마지막 줄의 “신미 윤월 하완(辛未閏月下浣)”은 “신미년(1751년) 윤 5월(양력 7월) 하순”이다. “겸재” 아래에는 작가의 이름인 “정선(鄭敾)”과 자(字)인.. 2025. 5. 19. 직지심체요절과 고려시대 금속 활자 개요 『 직지심체요절 』은 1372년(공민왕 21)에 백운화상(白雲景閑) 경한(景閑, 1299 ~ 1374)이 부처와 조사(祖師)들의 말씀 가운데 중요한 내용들을 추려 편찬한 불교 서적으로 정식 명칭은 『 백운화상 초록 불조 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 』이다. 『불조직지심체요절(佛祖直指心體要節)』, 『직지(直指)』 등으로 간략하게 부르기도 한다. 인간 마음의 본성이 곧 부처의 마음이라는 사실을 직지(直指)함으로써 깨달음에 이른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백운 경한이 입적한 뒤에 그의 제자들은 1377년에 청주 흥덕사에서 금속활자로 『 직지 』를 간행했다. 이는 『직지』권말에 간행한 일시, 장소 등을 기록한 간기를 통해 알 수 있다.1377년 청주목(淸州牧) 밖에 있는 흥덕사(興德寺)에서 .. 2025. 5. 17. 이전 1 2 다음